✅ 2025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방법 총정리
2025년 7월 14일부터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이 제도는 소상공인의 전기·가스·수도 요금, 4대 보험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최대 50만원 한도로 자동 차감해주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입니다.
📌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이란?
- 지원금액: 1인당 최대 50만원
- 사용처: 전기요금, 가스요금, 수도요금, 4대보험(국민연금·건강보험·고용보험·산재보험) 자동이체 시 차감
- 신청 대상: 매출 규모가 일정 기준 이하인 소상공인 (매출·사업자등록 여부에 따라 자동 선별)
- 사용기한: 2025년 12월 31일까지
🧾 신청 방법 (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순서)
1.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홈페이지 접속
2.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로그인
신청은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합니다. 공동인증서가 없다면 은행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발급 가능합니다.
3. 본인 확인 후 사업자 정보 자동 조회
로그인하면 사업자 정보가 자동으로 불러와지고, 본인의 신청 가능 여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카드 선택만 하면 신청 완료
사용할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1개 선택가능 ☞ 신한·국민·농협·하나·삼성·롯데·우리·BC카드 · 현대카드 중에서 선택 가능
👉 여기서 가장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부분! 카드번호를 입력하는 칸이 없는데 괜찮은가요?
→ 네, 괜찮습니다. 카드사와 시스템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있어 카드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, 신청만 하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.
해당 카드로 공과금을 자동이체하면 별도 조작 없이 50만원 한도 내에서 자동으로 차감됩니다.
💳 카드번호 입력 없이 자동 차감되는 원리
- 신청 시 선택한 카드 정보가 카드사와 정부 시스템에 자동 등록됩니다.
- 이후 해당 카드로 전기·수도·가스요금 또는 4대 보험료를 자동이체로 납부하면 납부금액이 자동으로 차감되어 실제 결제되는 금액이 줄어듭니다.
예를 들어, 전기요금 60,000원을 카드 자동이체 했을 때, 부담경감 크레딧에서 60,000원이 자동 차감되고, 내 통장에서 돈은 빠져나가지 않습니다.
⛔ 꼭 알아야 할 유의사항
- 카드는 한 번만 선택 가능 → 신청 이후 변경 불가
- 일반 소비나 쇼핑 결제에는 사용 불가 → 반드시 공과금·4대보험 자동이체에만 적용
-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
- 기존에 자동이체 등록된 카드가 아니라면, 직접 해당 카드로 자동이체 등록을 해야 혜택 적용 가능
📞 소상공인 부담 경감 크레딧 고객센터 안내
-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전용 상담센터: ☎️ 1533-3505
- 운영시간: 평일 09:00 ~ 18:00 (점심시간 제외)
복잡한 입력 없이 카드 선택만으로 신청이 완료되고, 공과금이 자동 차감되는 똑똑한 정부 지원금!
소상공인 여러분, 놓치지 말고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2025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방법 총정리